본문 바로가기

해외 강의 번역

'만화의 힘' 주제 테드 강의 번역(패트릭 채패트, Patrick Chappatte)

'만화의 힘' 주제 테드 강의

So yeah, I'm a newspaper cartoonist -- political cartoonist. I don't know if you've heard about it -- newspapers? It's a sort of paper-based reader. It's lighter than an iPad, it's a bit cheaper. You know what they say? They say the print media is dying -- who says that? Well, the media. But this is no news, right? You've read about it already.

 

Ladies and gentlemen, the world has gotten smaller. I know it's a cliche, but look, look how small, how tiny it has gotten. And you know the reason why, of course. This is because of technology -- yeah. Any computer designers in the room? Yeah well, you guys are making my life miserable because track pads used to be round, a nice round shape. That makes a good cartoon. But what are you going to do with a flat track pad, those square things? There's nothing I can do as a cartoonist. Well, I know the world is flat now. That's true. And the Internet has reached every corner of the world, the poorest, the remotest places. Every village in Africa now has a cyber cafe. Don't go asking for a Frappuccino there. So we are bridging the digital divide. The Third World is connected, we are connected. And what happens next? Well, you've got mail. Yeah. Well, the Internet has empowered us. It has empowered you, it has empowered me and it has empowered some other guys as well.

 

You know, these last two cartoons -- I did them live during a conference in Hanoi. And they were not used to that in communist 2.0 Vietnam. So I was cartooning live on a wide screen -- it was quite a sensation -- and then this guy came to me. He was taking pictures of me and of my sketches, and I thought, "This is great, a Vietnamese fan." And as he came the second day, I thought, "Wow, that's really a cartoon lover." And on the third day, I finally understood, the guy was actually on duty. So by now, there must be a hundred pictures of me smiling with my sketches in the files of the Vietnamese police.

 

No, but it's true: the Internet has changed the world. It has rocked the music industry; it has changed the way we consume music. For those of you old enough to remember, we used to have to go to the store to steal it. And it has changed the way your future employer will look at your application. So be careful with that Facebook account -- your momma told you, be careful. And technology has set us free -- this is free WiFi. But yeah, it has liberated us from the office desk. This is your life, enjoy it. In short, technology, the internet, they have changed our lifestyle. Tech guru, like this man -- that a German magazine called the philosopher of the 21st century -- they are shaping the way we do things. They are shaping the way we consume. They are shaping our very desires. You will not like it. And technology has even changed our relationship to God.

 

Now I shouldn't get into this. Religion and political cartoons, as you may have heard, make a difficult couple, ever since that day of 2005, when a bunch of cartoonists in Denmark drew cartoons that had repercussions all over the world -- demonstrations, fatwa, they provoked violence. People died in the violence. This was so sickening; people died because of cartoons. I mean -- I had the feeling at the time that cartoons had been used by both sides, actually. They were used first by a Danish newspaper, which wanted to make a point on Islam. A Danish cartoonist told me he was one of the 24 who received the assignment to draw the prophet -- 12 of them refused. Did you know that? He told me, "Nobody has to tell me what I should draw. This is not how it works." And then, of course, they were used by extremists and politicians on the other side. They wanted to stir up controversy. You know the story. We know that cartoons can be used as weapons. History tells us, they've been used by the Nazis to attack the Jews. And here we are now. In the United Nations, half of the world is pushing to penalize the offense to religion -- they call it the defamation of religion -- while the other half of the world is fighting back in defense of freedom of speech. So the clash of civilizations is here, and cartoons are at the middle of it? This got me thinking. Now you see me thinking at my kitchen table, and since you're in my kitchen, please meet my wife.

 

In 2006, a few months after, I went Ivory Coast -- Western Africa. Now, talk of a divided place -- the country was cut in two. You had a rebellion in the North, the government in the South -- the capital, Abidjan -- and in the middle, the French army. This looks like a giant hamburger. You don't want to be the ham in the middle. I was there to report on that story in cartoons. I've been doing this for the last 15 years; it's my side job, if you want. So you see the style is different. This is more serious than maybe editorial cartooning. I went to places like Gaza during the war in 2009. So this is really journalism in cartoons. You'll hear more and more about it. This is the future of journalism, I think.

 

And of course, I went to see the rebels in the north. Those were poor guys fighting for their rights. There was an ethnic side to this conflict as very often in Africa. And I went to see the Dozo. The Dozo, they are the traditional hunters of West Africa. People fear them -- they help the rebellion a lot. They are believed to have magical powers. They can disappear and escape bullets. I went to see a Dozo chief; he told me about his magical powers. He said, "I can chop your head off right away and bring you back to life." I said, "Well, maybe we don't have time for this right now." "Another time."

 

So back in Abidjan, I was given a chance to lead a workshop with local cartoonists there and I thought, yes, in a context like this, cartoons can really be used as weapons against the other side. I mean, the press in Ivory Coast was bitterly divided -- it was compared to the media in Rwanda before the genocide -- so imagine. And what can a cartoonist do? Sometimes editors would tell their cartoonists to draw what they wanted to see, and the guy has to feed his family, right? So the idea was pretty simple. We brought together cartoonists from all sides in Ivory Coast. We took them away from their newspaper for three days. And I asked them to do a project together, tackle the issues affecting their country in cartoons, yes, in cartoons. Show the positive power of cartoons. It's a great tool of communication for bad or for good. And cartoons can cross boundaries, as you have seen. And humor is a good way, I think, to address serious issues. And I'm very proud of what they did. I mean, they didn't agree with each other -- that was not the point. And I didn't ask them to do nice cartoons. The first day, they were even shouting at each other. But they came up with a book, looking back at 13 years of political crisis in Ivory Coast.

 

So the idea was there. And I've been doing projects like this, in 2009 in Lebanon, this year in Kenya, back in January. In Lebanon, it was not a book. The idea was to have -- the same principal, a divided country -- take cartoonists from all sides and let them do something together. So in Lebanon, we enrolled the newspaper editors, and we got them to publish eight cartoonists from all sides all together on the same page, addressing the issue affecting Lebanon, like religion in politics and everyday life. And it worked. For three days, almost all the newspapers of Beirut published all those cartoonists together -- anti-government, pro-government, Christian, Muslim, of course, English-speaking, well, you name it. So this was a great project. And then in Kenya, what we did was addressing the issue of ethnicity, which is a poison in a lot of places in Africa. And we did video clips -- you can see them if you go to YouTube/Kenyatoons.

 

So, preaching for freedom of speech is easy here, but as you have seen in contexts of repression or division, again, what can a cartoonist do? He has to keep his job. Well I believe that in any context anywhere, he always has the choice at least not to do a cartoon that will feed hatred. And that's the message I try to convey to them. I think we all always have the choice in the end not to do the bad thing. But we need to support these independent, critical and responsible voices in Africa, in Lebanon, in your local newspaper, in the Apple store. Today, tech companies are the world's largest editors. They decide what is too offensive or too provocative for you to see. So really, it's not about the freedom of cartoonists; it's about your freedoms. And for dictators all over the world, the good news is when cartoonists, journalists and activists shut up.

 

Thank you.

 

 

'만화의 힘' 주제 테드 강의 번역

네, 저는 신문 만화가입니다. 정치 만화가죠. 들어보셨는지 모르겠는데 신문이요? 그것은 일종의 종이 기반의 리더입니다. 그것은 아이패드보다 가볍고, 조금 더 쌉니다. 그 사람들이 한 얘기 알아요? 인쇄 매체가 죽어가고 있다고 하는데, 누가 그러죠? 뭐, 언론에서요 하지만 이건 새로운 소식이 아니죠? 당신은 그것에 대해 이미 읽었습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세상은 점점 좁아지고 있습니다. 상투적인 표현인 건 알지만 얼마나 작아졌는지 보세요 얼마나 작아졌는지요 그 이유는 물론 아시겠죠 이것은 기술 때문입니다. 네. 방에 컴퓨터 디자이너 있어요? 그래요, 당신들이 제 삶을 비참하게 만들고 있어요 왜냐면 트랙패드는 원래 둥글고 둥근 모양이었거든요 그것은 좋은 만화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네모난 트랙패드로 뭘 할 건데요? 만화가로서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습니다. 이제 세상이 평평하다는 건 알아요. 맞아요. 인터넷은 전 세계 구석구석까지 도달했습니다. 가장 가난하고 외진 곳이죠. 아프리카의 모든 마을에는 현재 사이버 카페가 있습니다. 거기 가서 프라푸치노 달라고 하지 마세요. 그래서 우리는 정보격차를 메우고 있습니다. 제3세계는 연결되어 있고, 우리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다음엔 어떻게 되죠? 우편물이 왔네요 네, 인터넷이 우리에게 힘을 줬어요 그것은 여러분에게 힘을 실어주었고, 저에게도 힘을 실어주었고, 다른 사람들에게도 힘을 실어주었습니다.

 

이 마지막 두 만화는 하노이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라이브로 만들었습니다. 그러고 공산주의 2.0 베트남에서는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큰 화면으로 라이브로 만화를 그리고 있었습니다. 꽤 센세이션을 일으켰죠. 그런데 어떤 남자가 제게 다가왔습니다. 그는 저와 제 스케치 사진을 찍고 있었고, 저는 "베트남 팬이구나"라고 생각했습니다. 둘째 날 그가 왔을 때, 저는 생각했습니다. "와, 정말 만화를 좋아하는구나." 그리고 셋째 날, 저는 마침내 그 남자가 실제로 근무 중이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지금쯤이면 베트남 경찰 파일에 제가 스케치하고 웃는 사진이 백 장이 될 거예요.

 

아뇨, 하지만 사실이에요 인터넷이 세상을 바꿨어요 그것은 음악 산업을 뒤흔들어 놓았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음악을 소비하는 방식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기억하실 만큼 나이가 많으시겠지만, 우리는 그것을 훔치러 가게에 가야만 했습니다. 그리고 이는 미래의 고용주가 귀하의 지원서를 보는 방식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러니 그 페이스북 계정을 조심하세요. 어머님이 말씀하시길, 조심하세요. 그리고 기술이 우리를 자유롭게 만들었습니다. 이것이 무료 와이파이입니다. 하지만 네, 사무실 책상에서 해방되었습니다. 이게 당신의 삶이에요, 즐기세요. 간단히 말해서, 기술, 인터넷은 우리의 생활방식을 바꿔놓았습니다. 21세기의 철학자라고 불리는 독일 잡지에 나온 이 남자처럼 기술 구루들은 우리가 하는 방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것들은 우리가 소비하는 방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우리의 욕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마음에 들지 않을 거예요. 그리고 기술은 신과의 관계까지 바꿔놓았습니다.

 

이제 이 얘긴 하면 안 돼요 종교와 정치만화는, 여러분이 들으셨겠지만, 어려운 커플입니다. 덴마크의 만화가들이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만화를 그린 2005년 이후로 말이죠. 시위, 파트와, 그들은 폭력을 유발했습니다. 그 폭력 사태로 사람들이 죽었어요. 이것은 너무 역겨웠습니다; 사람들은 만화 때문에 죽었습니다. 제 말은, 그 당시 저는 만화가 양쪽 모두에 의해 사용되었다고 느꼈습니다. 그것들은 이슬람에 대한 주장을 펼치기를 원했던 덴마크 신문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덴마크의 한 만화가가 말하길 그는 예언자를 그리는 임무를 받은 24명 중 한 명이라고 하더군요. 그들 중 12명이 거절했죠. 당신은 그것을 알고 있었나요? "아무도 내가 무엇을 그려야 하는지 말해줄 필요가 없어요. 이런 식으로는 안 됩니다." 그리고 나서, 물론, 그들은 극단주의자들과 반대편의 정치인들에게 이용되었습니다. 그들은 논란을 일으키기를 원했습니다. 그 이야기 아시잖아요. 우리는 만화가 무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역사를 보면 나치가 유대인을 공격하는데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지금 여기에 있습니다. UN에서는, 세계의 절반이 종교에 대한 공격을 처벌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종교에 대한 명예훼손이라고 부르죠. 반면에 세계의 다른 절반은 언론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그럼 문명의 충돌이 일어나고 만화는 그 중심에 있는 건가요? 이런 생각을 하게 됐어요. 이제 부엌 식탁에서 생각하고 있는 제 모습을 보시고, 제 부엌에 오셨으니 제 아내를 만나주세요.

 

2006년, 몇 달 후, 저는 서부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로 갔습니다. 자, 분단된 장소에 대해 이야기해보죠. 그 나라는 둘로 나뉘었습니다. 북부에는 반란이 있었고 남부에는 정부가 있었습니다 수도 아비장 그리고 중간에 프랑스군이 있었죠 이것은 거대한 햄버거처럼 보입니다. 중간에 햄이 되고 싶지는 않으실 거예요. 저는 그 이야기를 만화로 보도하기 위해 그곳에 있었습니다. 지난 15년 동안 이 일을 해왔어요. 원한다면 제 부업이에요. 그래서 스타일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어쩌면 사설 만화보다 더 심각합니다. 저는 2009년 전쟁 때 가자 지구 같은 곳을 갔었습니다. 이것은 만화에서의 저널리즘입니다. 당신은 그것에 대해 점점 더 많이 듣게 될 거예요. 이것이 저널리즘의 미래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물론, 저는 북쪽의 반란군을 보러 갔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불쌍한 사람들이었어요. 이 분쟁에는 아프리카에서 매우 자주 일어나는 민족적 측면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도조를 보러 갔죠 Dozo는 서아프리카의 전통적인 사냥꾼입니다. 사람들은 그들을 두려워합니다. 그들은 반란을 많이 돕죠. 그들은 마법의 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들은 사라질 수 있고 총알을 피할 수 있습니다. 도조 족장을 만나러 갔었는데, 그의 마법의 힘에 대해 말해줬어요. 그는 "당장 당신의 머리를 잘라내서 다시 살려낼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제가 말했지, "음, 지금 이럴 시간이 없을지도 몰라." "다음에""

 

그래서 아비장에서 저는 현지 만화가들과 함께 워크숍을 이끌 기회를 얻었고, 이런 맥락에서 만화가 정말로 반대편에 대한 무기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제 말은, 코트디부아르의 언론은 심하게 분열되어 있었습니다. 르완다의 언론과 비교가 되었죠. 대량학살 이전의 언론과 비교가 되었죠. 상상해보세요. 만화가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때때로 편집자들은 만화가들에게 그들이 보고 싶은 것을 그리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그리고 그 남자는 그의 가족을 먹여살려야 했습니다. 그래서 아이디어는 꽤 간단했습니다. 우리는 코트디부아르에 있는 모든 분야의 만화가들을 모았습니다. 우리는 3일 동안 그들을 신문에서 떼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들에게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자고 요청했습니다. 그들의 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을 만화로, 네, 만화로요. 만화의 긍정적인 힘을 보여주세요. 그것은 좋은 일이든 좋은 일이든 좋은 일이든 소통의 좋은 도구입니다. 그리고 만화는 여러분이 보셨듯이 경계를 넘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머는 심각한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그들이 한 일이 매우 자랑스럽습니다. 제 말은, 그들은 서로 동의하지 않았습니다. 그게 요점이 아니었죠. 그리고 나는 그들에게 멋진 만화를 해달라고 부탁하지 않았어요. 첫날, 그들은 심지어 서로에게 소리를 질렀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코트디부아르의 13년간의 정치적 위기를 되돌아보는 책을 생각해냈습니다.

 

그래서 그 아이디어는 거기 있었어요. 저는 이런 프로젝트를 2009년에 레바논에서, 올해에는 케냐에서 1월에 해왔습니다. 레바논에서는 책이 아니었습니다. 그 아이디어는 -- 같은 교장선생님, 분단된 국가 -- 모든 면에서 만화가들을 데려와서 그들이 함께 무언가를 하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레바논에서는 신문 편집자들을 등록했고, 그들이 8명의 만화가들을 같은 페이지에 함께 게재하도록 했습니다. 정치나 일상 생활에서 레바논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다루었죠. 그리고 그것은 성공했어요. 3일 동안 베이루트의 거의 모든 신문들이 그 만화가들을 함께 실었습니다. 반정부, 친정부, 기독교, 이슬람교, 물론 영어권도요. 그래서 이것은 훌륭한 프로젝트였습니다. 그리고 케냐에서 우리가 한 일은 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독이 되는 민족 문제를 다루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동영상을 찍었습니다. YouTube/Kenyatoons에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 언론의 자유를 위한 설교는 쉽지만 억압이나 분열의 맥락에서 다시 보았듯이 만화가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요? 그는 그의 직업을 유지해야 합니다. 글쎄요, 저는 그가 적어도 언제나 증오심을 키울 만화를 만들지 않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제가 그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입니다. 저는 우리 모두가 결국 나쁜 일을 하지 않을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독립적이고 비판적이며 책임감 있는 목소리를 아프리카, 레바논, 지역 신문, 애플 스토어에서 지지해야 합니다. 오늘날, 기술 회사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편집자입니다. 그들은 여러분이 보기에 너무 공격적이거나 자극적인 것을 결정합니다. 만화가의 자유에 관한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자유에 관한 것입니다. 그리고 전 세계의 독재자들에게 좋은 소식은 만화가, 언론인, 운동가들이 입을 다물 때입니다.

 

감사합니다.